전체 글15 일반화학의 정의(3) 이전글에 이어서 물리적 성질(physical property)은 물질의 조성이나 동일성이 변하지 않으면서 나타나고 측정하고 관찰할 수 있는 것이며, 반면 화학적 성질(chemical property) 은 화학반응에서만 볼 수 있는 것 입니다. 화학반응(chemical reaction)이란 최소한 한 물질이라도 그 조성과 동일성이 변화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공기 중에서 나무가 타고 은이 녹스는 것은 대표적인 화학적 변화의 예 입니다. 즉 나무는 타면서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 물 그리고 연기 와 재 등의 여러가지 탄소 함유물을 만들며, 반짝이는 은은 공기 중의 황화물과 화합하여 표면에 녹으러 나타나는 흑색의 황화은을 형성합니다. 그러나 화학을 더 정의하기 전에 다루게 될 물질의 여러 종류에.. 2024. 11. 30. 일반화학의 정의(2) 이전 글에서 말한 바와 같이 법칙은 많은 양의 자료를 서로 연관시켜 흔히 수식 형태로 표현 됩니다. 그리고 법칙만으로는 자연의 있는 그대로의 성질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사실의 단순한 진술에 만족하지 않고 관찰 결과를 설명하고 싶어 합니다. 이리하여 과학적 방법의 둘째 단계로서는 실험에 의하여 검증될 시험적 설명, 즉 가설(Hypothesis)을 제기합니다. 가설이 보다 많은 실험에 의해서 증명되어 믿을만한 결과가 유도되면 이것은 이론(Theory)으로 발전합니다. 이론은 늘 새로운 실험에 대한 길잡이 역할을 합니다. 실험에 의하여 어떤 이론이 옳지 않다는 것이 밝혀지면 이 이론은 새로운 이론에 자리를 양보하거나 또는 실험 결과가 설명될 수 있도록 수정됩니다. 이리하여 과학은 이론과 실험 .. 2024. 11. 30. 일반화학의 정의(1) 일반화학에 대한 서론 화학은 "변화에 대해 연구하는 자연과학" 입니다. 변화는 어디에서나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 몸 속에서의 호흡과 소화 작용, 공기 중에서 쇠가 녹느슨 현상, 땅 속에서 생성되는 석유와 석탄, 태양이 방출하는 열과 빛 등 우리 주변에서는 물질이 끊임없이 변하고 있습니다. 어느 것은 느리게, 어느 것은 빠르게. 이러한 변화를 연구하다 보면 당연히 질문이 생기게 되는데,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을 마련하는 과정이 바로 화학인 것 입니다. 그 첫번째 질문은 " 왜 변화하는가?" 입니다. "왜?" 이것이야말로 자연과학의 출발점이며, 원동력 입니다. 모름지기 자연과학을 연구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자연 현상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왜?" 간단하게 단하면 "안정한 상태가 되기 위.. 2024. 11. 29. 이전 1 2 3 4 다음